2008년 1월 31일 목요일

오픈소스란 어떤 것인가?

GPL 라이선스를 갖는 코드가 한 줄이라도 들어가면 GPL 라이선스를 따라야 한다고 하네요. 다른 오픈소스 라이선스는 오픈소스 코드를 이용한 사용 소프트웨어에 대해 강제하는 조항은 없는 것 같은데요... GPL 라이선스로 배포된 소스코드를 사용하게 될 경우 꼭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있어야 겠군요.

비영리 기구인 Open Source Initiative 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촉진시키고, 이를 관리하기 위해 Open Source Definition라는 것을 만들었다. 오픈소스 역시 상용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라이선스하에 배포가 된다. 이미 30개 이상의 오픈소스 라이선스가 난무해 오픈소스 사용자들 입장에서는 골치가 아닐 수 없다. 이를 돕기 위해 정의된 Open Source Definition는 오픈소스 라이선스가 되기 위해선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고, 어떤 내용은 포함되지 않아야 하는지를 명시한 것이다.


Open Source Definition
에 부합하기 위해서 오픈소스 라이선스는 다음의 항목들을 제공해야 한다:

  • 소스 코드 제공(Source Code Access): 오픈소스가 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형태더라도 소스 코드를 제공해야 한다.
  • 수정 허용(Derivative Works): 오픈소스 코드를 수정해서 동일한 조건하에 다시 배포가 될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칭하는 법률 용어가 " Derivative Works"이다. 이를 통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가 빠르게 진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차별 배제(No discrimination): 오픈소스 코드를 이용하는데 어떠한 차별도 두어서는 안된다. 멋진 규약이다. ^^; 라이선스를 준수하는한 누구에게도. 이는 상업적인 목적의 사용자가 오픈소스 커뮤니티에 합류하는 것을 허용한다.
  • 다른 소프트웨어에 대한 무제약(No restrictions on other software): GPL을 제외한 대부분의 오픈소스 라이선스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가 사용 소프트웨어에 포함될 경우 해당 상용 소프트웨어가 오픈소스일 필요는 없다. 즉, 해당 소프트웨어가 아닌 다른 소프트웨어에 대해 어떠한 강제도 하지 않다. 다만, GPL의 경우 GPL이 포함된 소프트웨어는 무조건 GPL이다. ^^;

OSI의 인증을 받은 모든 라이선스의 목록은 아래 사이트에서 찾아볼 수 있다.

: http://www.opensource.org/licenses/

오픈소스의 라이선스는 대체로 "COPYLEFT" 성향의 정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COPYLEFT라 함음 저작권(COPYRIGHT)에 대한 반감 혹은 조롱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Copyleft 성향이 가장 강한 것은 GPL (General Public License) 이다. GPL은 쉽게 말해서, GPL 하에 배포된 코드를 수정한 경우, 즉 자신이 만들 소프트웨어에 GPL 라이선스를 갖는 코드가 할줄이라도 들어가면, 소유권을 포기하란 얘기다. 완전한 평등. 완전한 공유 정신이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대명사격인 리눅스가 바로 GPL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GNU GPL은 최초의 오픈소스 라이선스이면서, 여전히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오픈소스 라이선스이기도 하다. 오픈소스의 대부격인 리차드 스톨먼(Richard Stallman)과 에벤 모글렌(Eben Moglen)은 GPL을 만들고, GPL을 촉진시키고 이를 관리하기 위해 Free Software Foundation을 설립했다.

Copyleft 성향이 약한 오픈소스 라이선스들이 몇 가지 있다. 그 중 유명한 것이 Mozilla Public License (MPL) 이다. 네스케이프 브라우저의 오픈소스 버전인 Mozilla가 채용한 라이선스이다. MPL의 경우 MPL 하에 배포된 코드를 포함하는 파일이나, MPL 하에 배포된 파일 자체를 수정한 경우에만 소스코드 배포를 요구하며, MPL 하에 배포되었던 파일이 아닌 새로운 파일은 MPL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코드 공개 기간에 있어서도 최소 일년 내지 6개월 정도의 기간동안 공개해야 하는 제약을 갖는다. 그래도, 완전 공개의 GPL에 비하면 상당히 사적 소유권을 인정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Copyleft 성향이 없는 오픈소스 라에선스들이 있는데, 가장 유명한 것은 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License (BSD)이며, 이와 유사한 것으로 Apache Software Licensethe MIT license 가 있다. 이것은 구워먹든 삶아먹든 신경을 안쓰는 것이다. 코드를 수정해서 상용화해도 전혀 무방하다는 것이다. 맘대로 하란 것이다. 다만, 원조 개발자들의 이름을 명기하는 정도의 예우를 요구하고 있다. 이 정도야 최소한의 양심 문제 아닌가. ^^;

그러나 주의할 점은 GPL 라이선스도 인터넷이나 CD 등의 미디어를 통해 공개적으로 배포가 되었을 때의 이야기다. GPL 하의 코드를 포함하여 제작한 프로그램을 개인적으로 사용하거나, 조직내에서 사용할 경우는 어떠한 제약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GPL 오픈소스 코드를 활용하여 서버의 코드를 수정하고, 공개적으로 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도 배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소스코드를 배포할 필요가 없다.

이상은 ONLamp.com의 "What is Open Source"의 일부를 발췌하여 의역한 것입니다.

원문: http://www.onjava.com/lpt/a/5330
2008년 1월 9일 추가:
간단한 요약표를 오픈소스 라이선스 가이드라인에서 찾을 수 있어 추가한다.

2008년 1월 18일 금요일

REST란?

Building Web Services the REST Way

 

Roger L. Costello

I will first provide a brief introduction to REST and then describe how to build Web services in the REST style.

What is REST?

REST is a term coined by Roy Fielding in his Ph.D. dissertation [1] to describe an architecture style of networked systems. REST is an acronym standing for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Why is it called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The Web is comprised of resources. A resource is any item of interest. For example, the Boeing Aircraft Corp may define a 747 resource. Clients may access that resource with this URL:

http://www.boeing.com/aircraft/747


A representation of the resource is returned (e.g., Boeing747.html). The representation places the client application in a state. The result of the client traversing a hyperlink in Boeing747.html is another resource is accessed. The new representation places the client application into yet another state. Thus, the client application changes (transfers) state with each resource representation -->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Here is Roy Fielding's explanation of the meaning of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is intended to evoke an image of how a well-designed Web application behaves: a network of web pages (a virtual state-machine), where the user progresses through an application by selecting links (state transitions), resulting in the next page (representing the next state of the application) being transferred to the user and rendered for their use."

2008년 1월 10일 목요일

나쁜 관리자 VS 좋은 관리자

ZDNet Korea...당신의 조직은 개발자를 올바르게 관리하고 있는가?

나쁜 관리자
나쁜 관리자는 팀원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지 못하며(또는 관심이 없으며), 팀원들의 능력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로, 원칙 없이 업무를 지시하며, 부적절한 인력을 배치하고, 팀원들과 제대로 대화를 나누지 않으며, 펫프로젝트(pet project, 고위층 또는 자신의 개인적인 관심으로 만들어낸 프로젝트)로 인해 업무 우선순위를 마구 바꾸고, 결과가 나와도 잘했는지 못했는지 제대로 판단하지 못한 채 자신의 기호에 따라 결과를 재단한다. 한마디로 그들은 조직의 목표와 팀원의 성장에는 아무런 관심이 없으며 단지 자신의 안위만 생각하는 사람들이다.
좋은 관리자
첫째, 바라는 결과를 명확히 알려주어야 한다. 어떤 관리자들은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자기 스스로도 정확히 모르는 채 작업을 지시하고, 팀원의 작업 결과를 그날그날의 기분에 따라 자신의 기호대로 판단하곤 한다.
둘째, 위임을 적절하게 수행해야 한다. 혼자서 모든 일을 처리하려고 하는 관리자는 탈진증후군(burnout syndrome)에 빠지게 된다.
셋째, 방법보다는 결과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결과가 올바르다면 방법은 팀원에게 맡겨두라는 뜻이다.
넷째, 피드백을 주고, 코칭을 하고, 경력 개발을 지원해야 한다.
다섯째, 좋은 관리자는 자기 자신을 관리하는 사람이다.

2008년 1월 9일 수요일

축구 선수에서 공부 1등으로

애자일 공부법이라~ 책 읽는 진도가 너무 안 나가는 데 한 번 적용해 봐야 겠다.

우리 회사에서는 다음 주 계획을 미리 세워놓고 JIRA 시스템에 등록해서 주간보고를 대체하려고 한다.
미리 추상적인 계획을 세우기 보다는 일을 시작하면서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저희 집은 TV 시청을 거의 하지 않습니다만(TV 팔아버리자는 이야기가 종종 나옵니다) 가끔 우연히 TV를 틀었는데 재미있고 유익한 방송을 보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난 11월 24일이 그랬습니다. 공부의 제왕MBC에서 매주하는 공부의 제왕이라는 프로.... 글 전체보기

무료 Database design tool - Toad™ Data Modeler Freeware

ERD를 쉽게 그릴 수 있고, 자동으로 sql script도 생성해 주는 무료 데이터베이스 디자인 도구.
기능과 Freeware 제한 기능은 아래와 같다.
다운로드 : Database design tool - Toad™ Data Modeler Freeware

Key features

  • Visual creation of Entity Relationship Diagrams (Database design)
  • Both Physical and Logical modeling
  • Generation of complex SQL scripts
  • Model Verification
  • To-Do list
  • Support for Unicode
  • UNDO / REDO

Freeware version limit

  • You cannot save a model with more than 25 entities.

2008년 1월 8일 화요일

직관적인 믹서 인터페이스

아! 감탄하게 만드는 UI 입니다. 비슷하게 이퀼라이저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 같구요.
여러가지 변수들을 조합해서 결과물을 얻어내는 경우에 멋지게 응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여기에서 볼 수 있어요.

마우스로 하얀 점들을 움직이면 소리의 크기가 변해요. 그에 따라 하얀 점을 둘러 싼 원의 크기도 변해요. 음은 베이스, 리드, 킥, 힛햇, 스네어가 있어요. (아마도, 베이스 기타, 리드 기타, 킥드럼, 드럼의 힛햇과 스네어드럼을 의미하는 듯)
중심부로 가져다 놓을 수록 소리가 커져요.
음향 기기 인터페이스 만들 떄 응용할 수 있겠어요.